본문 바로가기

부를 이루는 정원

돈은 빚이다 - 자본주의의 탄생 배경

EBS 다큐프라임 자본주의 제1부 '돈은 빚이다'-첫번째

 

자본주의 체제에 태어나서 살면서

'자본주의란 무엇인가?'에 대한 생각을

단 한 번도 해본 적이 없어요.

그냥 자본주의라 하면

'부익부 빈익빈',

'유전무죄 무전유죄' 같은

막연한 부정적인 느낌들만 들뿐이었어요.

하지만 부자가 되기로 마음먹은 이상

내가 사는 세상을 지배하는 경제 원리,

자본주의란 것을 공부하고, 알고,

이용해야 한다는 것을 깨달았어요.

초보가  자본주의를 공부할 때 

처음 시도하기 좋은 것이 바로

EBS의 다큐프라임 '자본주의'에요.

총 5부작이며, 내용은 굉장히 학문적이지만

나 같은 초보들도 이해할 수 있게 

굉장히 쉽게 설명해줘요.

그런데도 결코 쉬운 내용은 아니기에

몇 번 반복, 반복 또 반복해서 봐야 했어요.

앞으로 꾸준한 공부를 통해

깊은 통찰력을 얻어야겠다는 생각을 했답니다.^^

 

자본주의 사회에서 필수요소인 돈. 

이 돈이 어떻게 나와서

시장에 유통되고 있는지 설명해줘요.

그리고 자본주의 금융시스템에서

은행이 하는 일은 무엇인지 등

다루는 범위가 방대해서 간단하게 정리할 수 없다는 생각에

3~4개 정도로 나누어 중요한 부분,

그동안 몰랐던 부분을 위주로 정리해보려고 해요.

같이 쉽게 공부해볼까요?

 

Photo by Sharon McCutcheon on Unsplash

<돈은 빚이다>

돈을 왜 빚이라고 하는걸까요?

그리고 자본주의란 무엇일까요?

일단 정의를 알아보고 가도록해요.

자본주의
사유재산제에 바탕을 두고 이윤 획득을 위해 상품의 생산과 소비가 이루어지는 경제체제.

이윤획득이 목적인 경제체제에요.

이윤이란 것은 바로 돈이겠죠.

그래서 자본주의와 돈은

뗄래야 뗄 수 없는 관계에요.

자본주의를 이해하려면 먼저

돈을 이해해야 하는데요,

돈은 어떻게 나타났을까요?

 

16세기 영국이야기를 해드릴게요.

이 이야기에서 돈이 어떻게 나타나게 된건지,

여기서 은행은 어떤 역할을 했는지 알 수 있을거에요.

16세기 영국의 금 세공사는 금을 가지고 다니기 편하게 금화로 만드는 일을 하며,
금을 보관해주었다. 그리고 금 보관증을 써주었고, 보관료를 받았다.
그렇게 시간이 지나자 사람들은 자기들끼리 거래를 할 때 금을 직접 주고받기 보단,
가벼운 금 보관증을 주고 받았다. 마치 지금의 돈처럼.

이때 금 세공사는 사람들이 창고에 있는 금을 한꺼번에 찾지 않을 것이란 것을 깨닫는다.
그래서 창고에 보관 중인 금을 대출하여 이자를 받아 큰 부를 이루게 된다. 
물론 금의 주인들 모르게.
혹시 금을 찾으로 오는 고객들을 위해 일정 부분의 금을 남겨두고 나머지로 대출을 준 것이다.
하지만 금을 많이 소유한 고객에게 탄로가 나고만다. 이때 금 세공사는 금을 대출하여 받은 이자를 나누기로 합의하고 계속 대출을 해준다.
금 세공사는 현재 자신이 보관하고 있는 금의 양을 아무도 알지 못한다는 점을 악용하여 가지고 있는 금보다 10베 더 많은 금 보관증을 남발한다. 
금을 찾아갈 일부 고객을 위해 일정 부분(10분의1)을 금으로 남겨놓은 것이다.

이것이 현재 은행들이 제도적으로

시행하고 있는 법정지급준비금의 시초에요.

은행들은 정해진 지급준비율에 해당하는 돈은

떼어 놓고 나머지 돈을 대출하여 이자로 돈을 벌어요.

이야기 이어갈게요.

많은 돈을 벌게 된 금 세공사는 은행으로 발전하게 된다.
하지만 금 세공사를 수상하게 여긴 부유층 고객들이 몰려와 많은 금을 찾아간다. 이를 보고 위기를 느낀 나머지 고객들은 금을 한꺼번에 찾으려고 한다. 뱅크런이 일어난 것이다.

뱅크런은 경제 상황 악화로

금융시장에 위기감이 조성되면서

은행의 예금 지급 불능 상태를 우려한

고객들이 대규모로 예금을 인출하는 사태를 말해요.

뱅크런이 일어나면 아무리 견고한 은행도 버텨내지 못해요.

예금액은 대부분 대출되어있는 상태니까요.

이어서 갈게요.

위기에 처한 금 세공사에게 영국왕실이 찾아와 보유한 금보다 3배 많은 금 보관증을 발행할 수 있도록 공인해준다. 전쟁으로 금이 많이 필요했던 왕실이 편법을 할 수 있도록 공인을 해준 것이다.
그리하여 은행은 금보다 많은 금 보관증을 이용하여 돈을 벌게 된 것이다.

이러한 시스템이 현재 금융시스템으로 이어진 거에요. 

내용이 많아서 좀 힘들지만...

앞으로 정리는 계속됩니다~!!!^^